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미 연준 인플레이션 용인과 금리상승 압박의 새로운 대안? (Feat. 삼프로TV)

by 팩폭오지쥬 2021. 3. 23.
반응형

 

인플레이션 용인에 금리상승 압박에 대한 대안, 신안은행 오건영 부부장, 삼프로TV 유튜브 주식채널

오늘은 삼프로TV에서 좋은 영상이 올라와

퇴근할 때 듣고는 제대로 다시 한번 들어봐야겠다 하면서

공부할 겸 메모 포스팅을 적게 되었습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기업의 실적이 오르고, 실적이 오르면 주가가 오른다.

그런데 실적을 올리기 위해 투자를 증가시켜야 하고, 투자를 증가시키기 위해 돈을 빌리고

돈을 많이 빌리면 금리가 올라간다.

 

즉, 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른다?

 

금리가 오르다 보면 경제가 망가질 수 있기에 장기금리 완화시키기 위한 양적완화 실시

 

시장에서는 금리 상승 제어를 위해 

1) QE, OT, YCC를 요구

2) IOER 인상

3) SLR 연장

 

그에 반해 Fed는 20년 3~4월, 무제한 양적완화, 회사채 매입

5월 마이너스 금리 해주면 안 돼? X

6-7월 회사채뿐만 아니라 주식 사주면 안 돼? X

8-9월 평균 물가목표제 클리어하게 해 주면 안 돼? X

*AIT 하려면 기간이나 목표를 정확히 해야 하는 건데 이를 주지 않았다.

11~1월 양적완화 늘려! 침묵

 

FED, 꾸준한 실망적 행동

시장은 나중에 크게 줄 거야라고 생각하고 1~3을 요구

SLR (Supplementary leverage ratio,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

=대차대조표 상 자산 = 부채 + 자본 

부채(채권자 지분), 자본(주주 지분), 기업 파산 시 주주가 먼저 피해를 보고 (종잇 쪼가리)

채권자가 피해를 보기에, 주주 지분이 두껍기를 바란다.

자본/자산 = 5% 정도로 쌓아라

 

은행의 자산은= 대출채권, 국채, 중앙은행 예금(지급준비금)으로 존재

고로 SLR, 자본/대출, 국채, 지급준비금을 5%로 맞추어라 라고 하는 것

*양적완화 = 지급준비금이 늘어난다

 

작년 3월 무제한 양적완화로 지급준비금이 늘어나고

지급준비금이 늘어나버리니 대출을 해줄 수가 없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 분모인 자본을 늘려야 하는데 자본을 늘릴 리가 없다.

그러면 분자를 줄여야 하는데 이때 국채와 지급준비금을 생략해버린다.

 

시장은 SLR 연장하셔야죠 요구

왜? 국채 잔뜩 사놨는데 이걸 팔아야 하는데, 금리는 올랐고, 감당할 수 있겠어?

하지만, FED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왜?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월가의 저승사자)이

약탈적인 금융기관이 많다, SLR은 은행 배 불리는 특혜다 라고 말해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다

 

QE (Quantitative easing, 양적완화)

금리에는 기준금리(초단기 금리), 시장금리가 있는데

경기가 안 좋을 땐 단기 금리가 높아져 장기금리와 비슷해질 때 기준금리를 낮춰 정배열을 맞추는데

은행은 이때 단기로 돈을 빌려서 장기로 돈을 운영(대출)한다 = 마진 최대화

금융위기, 코로나 등 때는 장기금리를 누르는 게 양적완화, QE

 

OT (Operation Twist,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란?

1960년 처음 등장, 경기가 안 좋을 때 금리를 낮추면 자본 유출이 생기는데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금리를 높여야 한다.

국제 자금 유동에는 단기 금리에 연동, 실물 경기는 장기금리에 연동

 

그러니 단기 국채를 팔고(단기금리 상승), 장기자금에 투자하자(장기금리 하락)

= 자본유출을 방지하며 경기를 살리는 방법

 YCC (Yield curve control, 수익률 곡선 통제) 이란?

가격 타기팅 10년 치 금리 1.75% 확정하겠다.

금리가 1.75%가 될 때까지 돈을 부어 넣어 1.75%를 맞추는 행위 (무제한으로 구매)

 

QE는 1조만큼 살게요 (수량)

YCC는 1.75%를 지킬게요 (수치, 투입되는 금액은 상관없다, 가장 강력한 조치)

 

다시 위에 1~3번을 살펴보면

1) 안 했다.

2) 고려해보겠다

3) 역 RP(수량)의 한도를 늘렸다 (QE와 YCC의 관계 = IOER과 역 RP)

 

결론, A) 2023년까지 금리 인상은 없다 B) 테이퍼링 없다 C) 경기전망 좋게 본다 D) 물가가 올라오고 나면 대응을 할게

*d를 말할 때 자신감 있게 표현, Powerfull을 10번 언급하며 강조

?

모하메드 엘 에리언(El Enian)의 불가능한 삼위일체

① 어렵고 복잡한 내용

② 짧게

③ 알아들을 수 있도록

ex) 어렵고 복잡한 내용을 짧게 하면, 알아들을 수가 없고

     짧게 말해도 알아들을 수 있게 하려면, 내용이 쉬워야 한다

 

ⓐFed 전망 ↑

ⓑFed가 초완화적

ⓒ채권시장 안정 

→ 전망, 경기가 좋아지면 물가가 올라가고, 이를 잡기 위해 돈을 뿌려 완화시키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인플레이션이 발생되면 채권시장 안정이 안된다.

 

*구매력의 보존

1년 뒤 아이스크림을 먹기 위해 100원을 묻어놨으나, 1년 뒤 아이스크림 가격이 103원으로 상승 → 보존 실패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빌려줘 1년 뒤 103원을 받아 보존하려고 하는데

물건 가격이 108원이 되어버리면 망함

그래서 채권시장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금리 상승을 두려워한다

 

하지만, 현재는 D에서 인플레이션이 오더라도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게라고 말한 것


인플레이션에 용인과 금리인상 압박에 대한 각종 공인의 의견


파월 의장

인플레이션과 고용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며

원치 않는 더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할 도구가 있다는 점을 다시 강조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

역시 인플레이션 공포에 대처 수단이 있다 강조

 

바킨 총재

금리 상승은 경제에 대한 시장의 낙관론을 반영한 것

금리 상승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장기 금리는 여전히 낮음을 강조

연준은 원치 않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할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입증됐다고 덧붙여

*입증? 

명목금리-기대 인플레이션=실질금리

명목금리를 잡아놓아 실질금리가 낮아지도록 노력했고, 실질금리가 실제 -1%를 기록, 경기가 좋아졌는데

현재는 최근 명목금리도 오르고, 기대 인플레이션도 오르는데, 명목금리를 조금 더 올려 실질금리 조정

현재는 -0.6%까지 올랐다.

→ 요즘에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를 연동시킨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국채 수익률 상승은 새로운 Fed 정책체계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

실질 10년 국채 수익률은 많이 움직이지 않았고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실질 수익률에서 상당한 상승을 본다면 잠시 멈출 수 있다

최근 국채 수익률 상승은 Fed의 새로운 정책체계에서 우리가 원했던 것이 전달되는 것

*기대 인플레이션과 금리가 연동되어 움직이고 있다.

 

2018년을 볼 필요가 있다.

성장과 금리, 금리가 오르는 것보다 성장이 더 오르면 상관이 없다.

US vs Non US, 성장의 불균형으로 성장이 오른다고 금리를 올릴 수가 없다.

*Non US의 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금리가 올라가면서도 유동성이 좋아지는 경우도 있다.

장단기 금리차가 발생할 때, 은행이 마진을 늘리기 위해 대출을 늘려 유동성이 좋아진다.

SLR 규제하게 되면 대출이 늘어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