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4일 기사>
6년간 5조 원 지원에도 산업단지 생산과 수출 하락
*1978년 반월시화산단은 지역 내 총생산 50% 이상을 책임졌지만 2000년대 이후 대외 경쟁력 지속적으로 약화
*산업단지가 도시 외곽에 위치해 구인에 어려움으로 인해 산업단지 입주 꺼려
*정부 산단 업종 전환 및 고도화, 정주 환경 개선, 스마트 그린 산단 조성 등 추진
제네시스 GV80 등 美 판매 2배 (101.1%), 현대차 기아차 미국에서 입지 다지는 중
금융위 오는 10월까지 플랫폼 구축 예정, 대출 갈아타기 이제 비대면으로도 가능
IRP(개인형 퇴직연금) 1년 새 8조 늘었지만 대부분이 원금보장형으로 잠들어 있어
*비보장형(전체 8조 7836억) 연 수익률 13.6%인데 반해 원금보장형(전체 24조 7717억)은 1.5%
*원금보장형 상품의 고객이 비보장형으로 들어올 경우 50%만 하더라도 12조
한국, 홍콩식 공매도 도입, 코스피 200 코스닥 150 종목만 허용
*무차입 공매도 적발 주기를 1개월 단위로 단축하고, 부당이득의 3~5배 이하 벌금 등 처벌 강화
*개인의 공매도를 위한 주식대여물량 2~3조 원 규모 확보
SK 30만 원 안착, 업계 추가 상승 여력 있다
*대신증권, 목표주가 40만 원 제시 vs 하나금투, 본업인 정유부문의 적자 누적으로 인한 부담으로 목표주가 28만 원
딥러닝 기반의 고도화된 AI설루션, 금융. 제조. 리테일 등 글로벌 경제 효과 13조 달러
아마존, 테슬라 우주산업 본격화 하나?
*아마존의 블루 오리진 2024년까지 달 착륙 성공 목표, 올해 4월 유인우주선 발사 계획
*2020년 우주 탐사 핵심 하드웨어인 고객 터미널용 안테나 개발 성공
5G, IPTV 등의 본격화로 SKT와 LG U+가 역대급 실적 기록
*SKT는 11번가, SK스토아 등 e커머스 등 신사업 약진
*LG U+ 는 스마트홈에서 2조 134억, 알뜰폰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
만도, 자율주행 관련 부품 전문업체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 인수자 율주 행차 부품 라인업 완성
(코로나 이전 주가가 38,000원 대인데 현재 73,500원 대략 2배가 높아졌는데 저평가인가 고평가인가)
*레이더, 카메라 등의 인식, 브레이크, 스티어링 등 판단 및 제어 부품 설계 및 생산
*운전자 보조 시스템(ASAS) 핵심인 중거리 레이더를 2018년 국내 최초 양산
*2022년부터 아마존 배송 차량 10만 대의 전기차에 전방 레이더, 카메라, 자동 긴급 제동장치 공급 예정
(전자식 이중화 운전 시스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등도 공급)
*운전대와 바퀴가 완전히 분리된 조향 시스템인 장착형 첨단 운전 시스템 관련 부품도 MHE에서 양산 예정
*삼성증권과 신영증권에서는 매출액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수준이라고 판단
ASAS 신규 수주 금액의 감소세를 보여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낮췄다
구글 4분기 매출 56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3% 늘어난 매출 잭팟
美최대 석유 생산 업체 엑손모빌 창사 이래 40년 만에 첫 적자 기록
백수청년들 실업급여까지 쏟아부어 주식투자, 투기과열 우려 (개미가 판을 치면 시장은 붕괴된다는데 과연)
정부 임대주택 고집 꺾고 분양 확대, 85만 가구 공급 (건설주 상승하는가?)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 고밀 개발
*공공재 건축, 재개발 등 정비사업 활성화
*용적률 기부채납 방식 개선
*서울 외곽 신규 택지 공급
<2월 5일 기사>
채용비리는 제외하고 펀드 등 상품 관련 문제가 제기된 그룹사
신한 2명, 우리 2명, 하나 2명, KB 1명, NH 1명
채용비리까지 포함하면 신한 3명, 하나 3명, 우리 3명
머지;; 있는 놈이 더한다고 상품 관련 문제가 많은 1~3위가 채용비리도 했네요
3개 그룹사의 금융상품은 거르고 보겠습니다.
시중은행보다 금리 높은 케이 뱅크 예. 적금에 한 달새 7,500억 몰려 (그래 봤자 정기예금 연 1.3%, 적금은 1.8%)
세계 뉴딜 정책
미국, 2050년 탄소배출 제로, 4년간 2조 달러(224조 9,000억)
EU, 2050년 탄소배출 제로, 10년간 1조 유로(1,345조 4,600억)
중국, 2060년 탄소배출 제로, 30년간 100조 위안(1경 7,356조)
한국, 2050년 제로, 3년간 73조
*주식 종목 특정하기 어려울 시 ETF 투자 추천
친환경 관련 탄소중립을 위한 원자재값 상승에도 불구하고 월가, 투자전망 10년 새 가장 낙관적
*코발트 34%, 니켈 6%, 구리 70% 가격 상승
경제 정상화 시 가치주 펀드 투자 최적, 철강. 화학, 자동차, IT 등
기아차와 애플의 애플 카 생산 시설이 들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 조지아 주 인근 부품사의 주가 급등
*구영테크 4일간 100%, KB, 엔브이에이치코리아 29%(상한가), 화신 10.40%, 동원금속 8.96%, 화승알앤에이 7.98%
대한항공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화물 비행으로 영업이익 2,383억
실리콘 투, 전 세계 90개국 100만 한류팬이 찾는 K뷰티 플랫폼, 4월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신청 예정
*2020년 950억 매출, 2021년 30% 성장한 1,300억 매출 기대
한국 GM, 반도체 수급 문제로 생산계획 차질, 반도체 품귀 반년 더 갈 듯
*자동차 한 대당 반도체 200~300개 사용, 자율주행차엔 10배 사용
네이버 푸드윈도, 입점 3년 새 5배 증가한 5,037명, 거래액은 92배 증가
현대리바트, 전 품목 익일 배송 도입, 가구업계 속도전 불붙나?
네이버-빅히트, K팝 플랫폼에 유니버설 뮤직 입점 예정 (머라이어 캐리, 마룬 5 등)
사우디 등 산유국, 오일머니 수소에 투자 (설비가 갖춰진 산유국이 선점에 유리하다는 판단)
*사우디 등 중동국가의 수주를 진행하던 장비업체 살펴보기
한국의 미국 부동산 투자 사상 최대, 절반이 물류센터 (한국의 해외진출 본격화?)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증설, 현대차그룹 애플카 이슈, 퇴직연금 ISA 등 주식투자 (4) | 2021.02.09 |
---|---|
주가급등 사유없음, 세력들에게 내 돈 보호는 물론 오히려 역이용? (10) | 2021.02.08 |
네이버와 카카오 어디에 투자해야할까 (6) | 2021.02.05 |
경제뉴스 살펴보며 주식종목 찾아보기 (8) | 2021.02.04 |
피엔에이치테크 한국투자증권으로 공모하기 (0) | 2021.02.03 |
댓글